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시인정지용

시인정지용

한국 현대시의
아버지, 시인 정지용

우리 시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이 노래가 정지용 시인의 향수 이다.
지용과 함께 1930년대 우리 문단을 풍미한 김기림은 지용이 “조선 신시사상에 새로운 시기를 그으려한 선구자이며, 한국의 현대시가 지용에서 비롯되었다”고 말한 바 있다.
시적 대상의 적확한 묘사력과 언어조탁, 시적 기법의 혁신으로 모국어를 현대화시킨 최초의 모더니스트요 탁월한 이미지스트로서 한국을 대표하는 우리 시대 최고 시의 성좌임을 말해주는 것이리라.

고독과 빈곤 속성장

  • 1902 6月 20日(음력 5月 15日) 충청북도 옥천군 내남면 상계리 추정(현 옥천읍 향수길56) 부 연일정씨(延日鄭氏) 태국(鄭泰國)과 모 하동정씨(河東鄭氏) 미하(鄭美河)사이에 독자로 태어남 지용(池龍)의 아명은 못에서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태몽을 꾸었다 하여 지용(芝溶)이란 같은 발음의 한자에 맞춘 것
  • 1910 4月 6日 옥천공립보통학교(현 죽향초등학교) 입학
  • 1913 동갑인 은진송씨(恩津宋氏) 재숙(宋在淑)과 결혼
  • 1918 휘문고보(徽文高普)에 입학, 이때부터 습작활동을 시작
  • 1919 12月 『서광(曙光)』 창간호에 자전적 성장이야기인 소설 「삼인」을 처녀작으로 『요람(要籃)』 동인 지를 김화산, 박팔양, 박소경 등과 함께 주도
  • 1923 휘문고보의 교비생으로 경도(京都)에 잇는 동지사대학(同志社大學)에과 입학
  • 1926 『학조(學潮)』 창간호에 「카페·프란스」를 비롯하여 동시 및 시조 발표

검정두루마기교사

  • 1929 동지사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일본 문예지(文藝誌) 『근대풍경(近代風景)』에 일본어로 된 시들도 많이 투고 일본의 대표적인 시인 북원백추(北原白秋)의 관심을 받음 동지사대학 영문과 졸업. 휘문고보의 영어 교사로 16년간 재직 시 「유리창」을 씀
  • 1930 김요량, 박용철과 『시문학』 동인으로 참가, 1930년대 시단의 중요한 위치에 서게 됨
  • 1933 『카톨릭 청년』의 편집고문을 맡음. <구인회> 문학친목단체를 결성
  • 1935 제1시집 『정지용 시집(鄭芝溶詩集)』을 시문학사에서 출간
  • 1939 『문장』지 추천위원이 되어 조지훈, 박두진, 박목월, 김종한, 이한직, 박남수 등을 등단시킴

38년만에
귀향한민족시인

  • 1941 제2시집 『백록담(白鹿潭)』을 문장사에서 출간
  • 1945 이화여자전문학교(현 이화여자대학교)로 직장을 옮김. 담당과목은 한국어와 나전어(羅典語)
  • 1946 경향신문의 주간이 됨. 『지용시선(芝溶詩選)』이 을유문화사에서 출간
  • 1947 -경항신문사의 주간직을 사임하고 이여여자대학교 교수로 복직. 서울대 문리과대학 강사로 출강하여 『시경(詩經)』 강의
  • 1928 2월 이화여자대학교를 사임하고 녹번리 초당에서 서예를 하면서 소일함. 『문학도본(文學讀本)』이 박문출판사에서 출간
  • 1949 『산문(散文)』이 동지사에서 출간
  • 1950 6.25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정치보위부에 구금되어 서대문 형무소에 정인택, 김기림, 박영희등과 같이 수용되었다가 평양 감옥으로 이감, 이광수 계광순 등 33인이 같이 수감되었다가 그 후 폭사당한 것으로 추정